한 차례 인수가 불발된 아시아나항공이 경쟁 상대였던 대한항공과 합치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전격적인 발표로 어제 하루 동안 많은 기사가 쏟아졌는데요. <br /> <br />코로나19로 운항 중단이 길어져 경영난에 허덕이는 두 회사의 인수합병 발표라 기대뿐 아니라 실적 악화가 가중될 거란 우려도 많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방식부터 정리하고 넘어가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우선 인수 방식은 이렇습니다. <br /> <br />채권단인 산업은행이 내놓은 인수 방식은 크게 3단계입니다. <br /> <br />산업은행이 한진칼에, 한진칼이 대한항공에, 그다음으로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에 자금을 투입하는 방식입니다. <br /> <br />그래픽 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산업은행이 먼저 한진그룹의 지주회사인 한진칼에 3자 배정 유상증자 방식으로 신주 5천억 원과 <br /> <br />대한항공 주식을 담보로 한 교환사채 3천억 원 등 총 8천억 원을 투자합니다. <br /> <br />한진칼은 이 8천억 원 가운데 7천3백억 원을 대한항공이 실시하는 주주배정 유상증가에 투입합니다. <br /> <br />대한항공은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총 2조 5천억 원의 자금을 시장에서 조달합니다. <br /> <br />이런 방식으로 자금을 확보한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 인수에 나서게 됩니다. <br /> <br />이런 절차가 마무리되면 32년 만에 국내 항공업계의 양강 체제에 변화가 시작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야말로 초대형 항공사가 출범하게 됐는데요. <br /> <br />어느 정도 규모가 될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말씀하신 대로 코로나 위기 속에서 세계 10위 항공사가 탄생하게 되는데요. <br /> <br />대한항공과 아시아나를 합친 통합 항공사의 매출만 보면, 20조 원에 육박합니다. <br /> <br />보유 항공기 대수는 에어프랑스를 능가하는 수준으로 덩치가 커집니다. <br /> <br />국제 수송 인원 규모만으로도 세계 10위, 국제 화물 수송량은 무려 세계 3위 수준으로 껑충 뛰어오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과제도 산적할 텐데요. <br /> <br />우선 코로나19 상황인 점을 감안하면 다소 전격적이라고 볼 수 있을 텐데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 상황이 길어지고, 유럽과 미국 등의 확산세가 커지는 상황이라 의외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사실상 1년 가까이 하늘길이 막혔고, 앞으로도 이런 셧다운이 2~3년 더 갈 것으로 예측하는 전문가들도 많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번 HDC현대산업개발의 아시아니 인수 포기 이후 사겠다고 나선 기업이 없었다는 점이 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1117131039123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